1.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케이스 설계
(1)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케이스 작성
- 소프트웨어 테스트: 응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과 성능, 사용성, 안전성 등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, 결함을 찾아내는 활동
- 필요성: 오류 발견 관점, 오류 예방 관점, 품질 향상 관점
- 소프트웨어 테스트 원리: 결함 존재 증명, 완벽 테스팅 불가능, 초기 집중, 결함 집중, 살충제 패러독스, 정황 의존성, 오류-부재의 궤변 (결완초집 살정오)
- 초기 집중: SW 개발 초기 체계적인 분석 및 설계가 수행되지 못하면 프로젝트 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비용이 커진다는 요르돈의 법칙(눈덩이 법칙)
- 결함 집중: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오류의 80%는 전체 모듈의 20% 내에서 발견된다는 파레토 법칙(80 대 20 법칙)
- 살충제 패러독스: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에 의한 반복적 테스트는 새로운 버그를 찾지 못하여 테스트 케이스의 정기적 개선 및 다른 시각에서의 접근 필요
- 정황 의존성: 소포트웨어의 성격에 맞게 테스트 실시
- 오류-부재의 궤변: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면, 결함이 없다고 해도 품질이 높다고 볼 수 없다는 원리
- 소프트웨어 테스트 프로세스: 테스트 계획, 테스트 분석, 테스트 디자인, 테스트 케이스 및 시나리오 작성, 테스트 수행, 테스트 결과 평가 및 리포팅
- 소프트웨어 테스트 산출물: 테스트 계획서, 테스트 베이시스, 테스트 케이스, 테스트 슈트, 테스트 시나리오, 테스트 스크립트, 테스트 결과서
테스트 계획서 | 테스트 수행을 계획한 문서 |
테스트 베이시스 | 분석, 설계 단계의 논리적인 Case로 테스트 설계를 위한 기준이 되는 문서(요구사항 명세서, 관련 기준 또는 표준) |
테스트 케이스 |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값, 실행 조건, 기대 결과로 구성된 테스트를 위한 설계 산출물 |
테스트 슈트 |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환경에 따라 구분해 놓은, 시나리오가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테스트 케이스의 집합 |
테스트 시나리오 |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구성, 테스트 시나리오는 테스트 케이스와 일 대 다 관계 |
테스트 스크립트 | 테스트 케이스의 실행 순서(절차)를 작성한 문서로 테스트 스텝(Test Step), 테스트 절차서(Test Procedure) |
테스트 결과서 | 테스트 결과를 정리한 문서 |
(2) 소프트웨어 테스트 유형
- 프로그램 실행 여부, 테스트 기법, 테스트에 대한 시각, 테스트의 목적, 테스트의 종류에 따라 분류
-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른 분류: 정적 테스트, 동적 테스트
정적 테스트 | 프로그램 실행하지 않고 구조를 분석하여 논리성 검증 | 리뷰, 정적 분석 |
동적 테스트 |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하여 결함 검출 | 화이트박스 테스트, 블랙박스 테스트, 경험기반 테스트 |
- 테스트 기법에 따른 분류: 화이트박스 테스트, 블랙박스 테스트
- 화이트박스 테스트: 코드 분석과 프로그램 구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듈 내부를 테스트하는 방법
- 유형: 구문(문장) 커버리지, 결정(선택/분기) 커버리지, 조건 커버리지, 조건/결정 커버리지, 변경 조건/결정 커버리지, 다중 조건 커버리지, 기본 경로 커버리지, 제어 흐름 테스트, 데이터 흐름 테스트, 루프 테스트 (구결조 조변다 기제데루)
구문 커버리지 | 프로그램 내의 모든 명령문을 적어도 한 번 수행하는 커버리지 |
결정 커버리지 | 각 분기의 결정 포인트 내의 전체 조건식이 적어도 한 번은 참과 거짓의 결과를 수행하는 커버리지 |
조건 커버리지 | 각 분기의 결정 포인트 내의 각 개별 조건식이 적어도 한 번은 참과 거짓의 결과를 수행하는 커버리지 |
조건/결정 커버리지 | 전체 조건식뿐만 아니라 개별 조건식도 한 번은 참과 거짓의 결과를 수행하는 커버리지 |
변경 조건/결정 커버리지 | 개별 조건식이 다른 개별 조건식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체 조건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개선 |
다중 조건 커버리지 | 결정 조건 내 모든 개별 조건식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100% 보장하는 커버리지 |
기본 경로 커버리지 | 수행 가능한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는 기법으로 맥케이브의 순환복잡도를 기반으로 커버리지 계산 |
제어 흐름 테스트 | 프로그램 제어 구조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어 내부로직을 테스트하는 기법 |
데이터 흐름 테스트 | 제어 흐름 그래프에 데이터 사용현황을 추가한 그래프를 통해 테스트하는 기법 |
루프 테스트 | 프로그램의 반복(Loop) 구조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기법 |
- 맥케이브 순환복잡도: 제어 흐름의 복잡한 정보를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기법
복잡도 계산 | V=E-N+2 | 복잡도는 노드(N) 수와 간선(E) 수로 계산 | |
V=P+1 | 복잡도는 조건 분기문(P) 수로 계산 | ||
그래프 구성 | O | Node | 프로세싱 태스크 |
→ | Edge | 태스크 간 제어 흐름 |
- 블랙박스 테스트: 프로그램 외부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수행하는 기능 테스트
- 유형: 동등(동치/균등) 분할 테스트, 경곗값(한곗값) 분석 테스트, 결정 테이블 테스트, 상태 전이 테스트, 유스케이스 테스트, 분류 트리 테스트, 페어와이즈 테스트, 원인-결과 그래프 테스트, 비교 테스트, 오류 추정 테스트 (동경결상 유분페원비오)
동등 분할 테스트 |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효값/무효값을 그룹핑하여 대푯값 테스트 케이스 도출하여 테스트 |
경곗값 분석 테스트 | 등가 분할 후 경곗값 부분에서 오류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경곗값을 포함하여 테스트 케이스 설계 |
결정 테이블 테스트 | 요구사항의 논리와 발생조건을 테이블 형태로 나열하여, 조건과 행위를 모두 조합하여 테스트 |
상태 전이 테스트 | 이벤트에 의해 어느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이되는 경우의 수를 수행하는 테스트 |
유스케이스 테스트 | 시스템이 유스케이스로 모델링 되어 프로세스 흐름을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명세화하여 수행 |
분류 트리 테스트 | SW의 일부 또는 전체를 트리 구조로 분석 및 표현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여 테스트 수행 |
페어와이즈 테스트 | 테스트 데이터값 간 한 번씩 조합하는 방식, 모든 조합 비해 적은 양의 테스트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테스트 기법 |
원인-결과 그래프 테스트 |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 및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테스트 수행 |
비교 테스트 |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같은 입력값을 넣어서 동일한 결과 데이터가 나오는지 비교해 보는 테스트 기법 |
오류 추정 테스트 | 개발자가 범할 수 있는 실수를 추정하고 이에 따른 결함을 노출하는 테스트로 다른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을 보완 |
- 테스트 시각에 따른 분류: 검증, 확인
검증 (Verification) | 개발자 혹은 시험자의 시각으로 소프트웨어가 명세화된 기능을 올바로 수행하는지 과정을 테스트 |
확인 (Validation) | 사용자 시각으로 올바른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는지 결과를 테스트 |
- 테스트 목적에 따른 분류: 회복 테스트, 안전 테스트, 성능 테스트, 구조 테스트, 회귀 테스트, 병행 테스트 (회안성 구회병)
- 성능 테스트: 부하 테스트, 강도(스트레스) 테스트, 스파이크 테스트, 내구성 테스트
회복 테스트 | 시스템에 고의로 실패를 유도하고, 시스템의 정상적 복귀 여부를 테스트 | |
안전 테스트 | 불법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을 파괴하지 못하도록 소스 코드 내의 보안적인 결함을 미리 점검하는 테스트 | |
성능 테스트 | 사용자의 이벤트에 시스템 응답 시간, 반응 속도, 처리 업무량 등을 측정하는 테스트 | |
부하 테스트 | 시스템에 부하를 계속 증가시키면서 시스템의 임계점을 찾는 테스트 | |
강도(스트레스) 테스트 | 임계점 이상의 부하를 가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확인 | |
스파이크 테스트 | 짧은 시간에 사용자가 몰릴 때 시스템 반응 테스트 | |
내구성 테스트 | 오랜 시간 시스템에 높은 부하를 가하여 시스템 반응 테스트 | |
구조 테스트 | 시스템의 내부 논리 경로, 소스 코드의 복잡도를 평가하는 테스트 기법 | |
회귀 테스트 | 오류를 제거하거나 수정한 시스템에서 새로이 유입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일종의 반복 테스트 | |
병행 테스트 | 변경된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에 동일한 데이터를 입력 후 결과를 비교하는 테스트 |
- 테스트 종류에 따른 분류: 명세 기반 테스트, 구조 기반 테스트, 경험 기반 테스트 (명구경)
명세 기반 테스트 (블랙박스 테스트) | 프로그램 요구사항 명세서 기반 테스트 | 동경결상 유분페원비 |
구조 기반 테스트 (화이트박스 테스트) | 소프트웨어 내부 논리 흐름 기반 테스트 | 구결조 조변다 기제데루 |
경험 기반 테스트 (블랙박스 테스트) | 테스터의 경험과 직관 기반 테스트 | 탐색적 테스트, 오류 추정 테스트 |
(3) 정적 테스트
- 리뷰(Review):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산출물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거나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활동으로, 전문가가 수행
- 유형: 동료 검토, 인스펙션, 워크 스루 (동워인)
- 동료 검토: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요구사항 명세서를 설명하고, 이해관계자들이 설명을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검토 기법
- 워크 스루: 검토 자료를 사전 검토한 후 짧은 시간 동안 회의를 진행하는 형태로 문제 식별, 대안 조사, 학습 기회 제공하는 비형식적인 검토 기법
- 인스펙션: 소프트웨어 요구, 설계, 원시 코드 등의 저작자 외의 다른 전문가 팀이 문제를 식별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을 찾아내는 형식적인 검토 기법
- 정적 분석(Static Analysis): 자동화된 도구를 이용하여 산출물의 결함을 검출하거나 복잡도를 측정하는 테스트
(4) 동적 테스트
- 화이트박스 테스트(구조 기반 테스트): 응용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와 동작 검사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
- 테스트 커버리지: 주어진 테스트 케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범위를 측정하는 테스트 품질 측정 기준
- 유형: 기능 기반 커버리지, 라인 커버리지, 코드 커버리지 (기라코)
- 구성: 구문(문장), 결정, 조건, 참과 거짓에 대한 결정 포인트
구문(문장) 커버리지 | 구문 실행 개수로 계산 | 문장 커버리지(%)=실행된 문장의 수/전체 실행 가능한 문장의 수×100 |
결정 커버리지 | 전체 조건식이 한 번은 참/거짓 결과 | 결정 커버리지(%)=실행된 결정의 결과 수/전체 결정의 결과 수×100 |
조건 커버리지 | 개별 조건식이 한 번은 참/거짓 결과 | 조건 커버리지(%)=실행된 조건의 결과 수/전체 조건의 결과 수×100 |
- 블랙박스 테스트(명세 기반 테스트): 프로그램 외부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수행하는 기능 테스트
- 전체 소프트웨어 테스트 레벨(단위, 통합, 시스템, 인수)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법
- 경험 기반 테스트: 유사 소프트웨어나 유사 기술 평가에서 테스터의 경험을 토대로 한, 직관과 기술 능력을 기반으로 수행하는 테스트
- 탐색적 테스트: 테스터의 휴리스틱한 능력, 테스트 차터, 회고
탐색적 테스트 | 테스트 케이스를 문서로 작성하지 않고 테스터의 경험에 바탕을 두고 탐색적으로 기능을 수행해 보면서 테스트 |
오류 추정 | 개발자가 범할 수 있는 실수를 추정하고 이에 따른 결함이 검출되도록 테스트 케이스 설계하여 테스트 |
(5) 테스트 케이스(Test Case)
- 특정 요구사항에 준수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 개발된 입력값, 실행 조건, 예상 결과의 집합
- 테스트 오라클: 테스트의 결과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사전에 정의된 참값을 입력하여 비교하는 기법 (참샘휴일)
- 참 오라클: 모든 입력값에 대하여 기대하는 결과를 생성함으로써 발생된 오류를 모두 검출할 수 있는 오라클
- 샘플링 오라클: 특정 입력값에 대해서만 기대하는 결과를 제공해 주는 오라클
- 휴리스틱 오라클: 샘플링 오라클을 개선하여, 특정 입력값에 대해 올바른 결과를 제공하고, 나머지 값들에 대해서는 휴리스틱(추정)으로 처리하는 오라클
- 일관성 검사 오라클: 애플리케이션 변경이 있을 때, 수행 전과 후의 결괏값이 동일한지 확인하는 오라클
(6) 테스트 레벨(Test Level)
- 함께 편성되고 관리되는 테스트 활동의 그룹 (단통시인)
- 단위 테스트: 소프트웨어 설계의 최소 단위인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춘 테스트
- 통합 테스트: 소프트웨어 각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관련 오류 및 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체계적인 테스트
- 시스템 테스트: 통합된 단위 시스템의 기능이 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검증하는 테스트
- 인수 테스트: 최종 사용자와 업무의 이해관계자 등이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개발된 제품에 대해 운영 여부를 결정하는 테스트
- 알파 테스트: 선택된 사용자가 개발자 환경에서 통제된 상태로 개발자와 함께 수행하는 인수 테스트
- 베타 테스트: 실제 환경에서 일정 수의 사용자에게 대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하고 피드백을 받는 인수 테스트
단위 테스트 | 명세 기반 테스트(블랙박스 테스트), 구조 기반 테스트(화이트박스 테스트) |
통합 테스트 | 빅뱅 테스트, 샌드위치 테스트, 상향식 테스트, 하향식 테스트 |
시스템 테스트 | 기능 요구사항 테스트, 비기능 요구사항 테스트 |
인수 테스트 | 알파 테스트, 베타 테스트 |
2. 애플리케이션 통합 테스트
'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 (0) | 2023.06.09 |
---|---|
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(0) | 2023.04.22 |
서버 프로그램 구현 (0) | 2023.04.20 |
SQL 응용 (0) | 2023.04.20 |
프로그래밍 언어 활용(파이썬) (0) | 2023.04.17 |